오늘 이 글에 SOXL ETF의 구성종목 뿐만 아니라 거래량, 수수료, 상장이후 성과 등의 관련 내용을 상세히 담았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는 것만으로도 반도체 3배 레버리지 ETF SOXL의 대부분의 궁금증을 해소하실 수 있으실꺼예요.
1. 개요
2. 구성종목
3. 과거성과
4. 관련 글
개요
기본정보
SOXL는 세계 1위 자산운용사 블랙록(BLK)이 운용하는 반도체 ETF 규모 1위 SOXX의 일간 변동성 3배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이는 QQQ(1X)와 TQQQ(3X)의 관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OXL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추종하는 ETF였으나, 2021년 SOXX와 함께 기초지수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에서 ICE Semiconductor Index로 변경되었으니 참고하세요.
SOXL ETF의 핵심 정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종목명(티커) : SOXL
- 운용사 : Direxion
- 시가총액 : USD 4.53B (약 6조 원)
- 추종지수 : ICE 반도체 지수- 수수료 : 0.90%
- 배당률 : 0.1%
- 평균 거래량: $21,938,956
3X ETF 비교(vs TQQQ, TECL)
SOXL은 보수는 다른 기술주 3배 레버리지와 비교를 하였을때 약간 낮은 편인 0.90%의 연 보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TECL ETF와 비슷하지만 평균 거래량은 약 10배 정도 크다는 점이 눈에 띄네요.
TECL(S&P 기술주 3배 레버리지) ETF 구성종목, 수수료, 성과
💡 목차 1. 개요 기본정보 3X 기술주 ETF 비교 2. 구성종목 구성섹터 TOP10 비교(vs TQQQ) 3. 과거성과 상장이후 수익률 3X ETF 비교(vs TQQQ, UPRO) 4. 관련 글 3X ETF 정리 3X ETF 투자법 개요 기본정보 라오어님
truedonshow.com
무한매수법을 통해 SOXL ETF를 투자하기에 시가총액, 거래량은 문제가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구분 | TQQQ | TECL | SOXL |
상장일 | 02/09/10 | 12/17/08 | 03/11/10 |
운용보수 | 0.95% | 1.08% | 0.90% |
시가총액 | 19.57B | 3.01B | 4.53B |
추종지수 | 나스닥 100 | S&P 기술주 | ICE 반도체 지수 |
종목수 | 100 | 80 | 36 |
평균거래량 | 112M | 20M | 22M |
구성종목
SOXL 구성종목
SOXL ETF의 구성종목을 찾아보면 50% 비중이 개별종목이 아닌 수익증권으로 구성이 되어있고 대부분의 블로그에서 해당 자료를 그대로 가져다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는 SOXL의 '진짜' 구성종목이라 할 수 없죠.
SOXL와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는 1배, 2배 ETF를 통해 진짜 SOXL ETF의 구성종목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수익증권이 아닌 개별종목의 실제 투자비중을 말이죠.
구분 | 1배 | 2배 | 3배 |
티커(TICKER) | SOXX | USD | SOXL |
앞서 설명드렸든 SOXL의 진짜 구성종목과 비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SOXX의 구성종목을 살펴봐야 하죠. SOXX의 상위 10개 종목의 보유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iShares Semiconductor ETF (SOXX) Holdings | Seeking Alpha
To ensure this doesn’t happen in the future, please enable Javascript and cookies in your browser. If you have an ad-blocker enabled you may be blocked from proceeding. Please disable your ad-blocker and refresh.
seekingalpha.com
구성종목 | 보유비율 |
Broadcom Inc | 9.27% |
Qualcomm Inc | 8.53% |
NVIDIA Corp | 6.57% |
Intel Corp | 6.24% |
Advanced Micro Devices Inc | 4.53% |
Marvell Technology Inc | 4.40% |
TSMC | 4.32% |
Micron Technology Inc | 4.29% |
KLA Corp | 4.18% |
Applied Materials Inc | 4.11% |
Total | 56.44% |
반도체 관련 ETF답게 브로드컴, 퀄컴, 엔비디아, 인텔, TSMC 등의 종목을 확인할 수 있네요. 각 종목의 보유비중은 10%가 넘지 않는 선에서 고르게 배분이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종목을 확인해보니 약간 의아한 점이 있네요. 주요 반도체기업이라 할 수 있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왜 보유종목에 없는걸까요?
이는 SOXX은 미국의 상장되어 있는 주식만을 대상으로 하기에 국내기업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TOP10 비교
대표적인 기술주 3X ETF인 TQQQ와 TECL과 비교해봤을때 상위 10개 종목을 비교해보면 대부분의 종목이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약간의 분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TQQQ - 나스닥지수(QQQ)의 3배 레버리지 ETF의 A to Z
1. 개요 기본정보 3X ETF 비교 2. 구성종목 구성섹터 TOP10 비교(vs TQQQ) 3. 과거성과 상장이후 수익률 3X ETF 비교(vs TQQQ, UPRO) 4. 관련글 3X ETF 정리 3X ETF 투자법 개요 기본정보 TQQQ는 미국의 대표지수인
truedonshow.com
TQQQ | TECL | SOXL |
Apple | Apple | Broadcom |
12.49% | 24.72% | 9.27% |
Microsoft | Microsoft | Qualcomm |
10.17% | 21.19% | 8.53% |
Amazon | NVIDIA | NVIDIA |
6.61% | 3.91% | 6.57% |
Meta | Visa | Intel |
4.84% | 3.58% | 6.24% |
Tesla | Mastercard | AMD |
4.10% | 3.16% | 4.53% |
Alphabet C | Adobe | Marvell |
3.76% | 2.40% | 4.40% |
NVIDIA Corp | Broadcom | TSMC |
3.75% | 2.27% | 4.32% |
Alphabet A | Cisco | Micron |
3.55% | 2.21% | 4.29% |
Adobe | Salesforce | KLA |
1.84% | 2.15% | 4.18% |
Broadcom | Accenture PLC | Applied Materials |
1.74% | 2.11% | 4.11% |
Total | Total | Total |
52.84% | 67.70% | 56.44% |
과거성과
상장이후 수익률
SOXL의 주가 흐름을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OXL은 2010년 10월에 상장이 되었기에 2010년부터의 수익률 그래프를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에서의 SOXL 그래프를 그려보니 22년의 큰 폭의 하락장으로 인해 코로나 이전 시점의 가격으로 돌아와버렸습니다. 20~21년의 상승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는 그래프이네요.
연평균 수익률은 23.4%(23년 1월 기준)로 지난 1년의 하락장을 감안하면 생각보다 높은 연평균 수익률로 보여집니다. 하지만 역시나 가장 큰 문제는 MDD 로 22년의 MDD -85%로 상장이후 최대낙폭을 갱신했네요.
MDD(최대손실낙폭) 정의와 활용법 그리고 한계점까지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인 MDD(최대손실낙폭)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MDD 정의 MDD 활용예시 MDD 한계점 MDD 정의 MDD는 Max Drawdown의 약자로 Drawdown 중 가장
truedonshow.com
경제위기가 시작되지도 않은 시점에 원금의 -85%가 날아갈 정도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 만큼 자신이 감내할 수 있는 금액과 이에 맞는 전략으로 3개 레버리지를 투자할 필요가 있다 생각해요.
3X ETF 비교(vs TQQQ)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TQQQ와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추종했었던 SOXL 중 어떤 ETF가 상장 이후 더 좋은 성과를 거두었을까요?
이에 대한 물음을 해결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를 통해 성과를 비교해봤어요. 빨간색이 TQQQ, 파란색이 SOXL입니다.
2010년 부터 TQQQ과 비교해보면 수익률은 비슷하지만 2010년 초반의 SOXL의 낙폭이 TQQQ에 비해 상당이 깊었음을 확인할 수 있네요.
월별 상관성을 살펴보게 되면 TQQQ와는 0.82로 TECL보다는 낮지만 상당히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네요. TOP10 보유종목은 상이하지만 반도체 역시 기술주에 속하기에 비슷한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관련글
3X ETF 정리
투자 전 상품에 대한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 생각합니다. 각 ETF의 구성종목, 수수료, 과거 성과 등을 일목요연하에 정리하였으니 투자 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섹터 | 티커 | 설명 |
지수
|
UDOW | 다우존스 지수 3X |
UPRO | S&P 지수 3X | |
TQQQ | 나스닥 지수 3X | |
중소섹터
|
MIDU | S&P 중형주 3X |
TNA | 러셀 소형주 3X | |
기술/인터넷
|
TECL | S&P 기술섹터 3X |
WEBL | 다우 인터넷섹터 3X | |
FNGU | 미국+중국 기술주 3X | |
BULZ | 미국 기술주 3X | |
반도체 | SOXL | ICE 반도체지수 3X |
바이오
|
LABU | S&P 바이오테크 3X |
PILL | S&P 제약회사 3X | |
소비재
|
RETL | S&P 소매기업 3X |
WANT | 소비재 기업 3X | |
건설 | NAIL | 다우 주택건설 3X |
금융
|
FAS | 러셀 대형금융주 3X |
DPST | S&P 지역은행 3X | |
항공우주 | DFEN | 다우 항공우주 3X |
3X ETF 투자법
지속적으로 말씀드렸듯 3배 레버리지 ETF상품은 초고위험 상품임을 잊지말하야 합니다. 그렇기에 투자에 앞서 투자의 원칙과 방법론이 있는 상태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죠.
온라인상의 공개되어 있는 3배 레버리지 ETF 투자법을 정리하였으니 각 투자법을 비교 분석하여 자신에게 맞는 방법론을 찾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구분 | 투자법 | 관련글 |
단기 | 무한매수법 | 개념 및 원리 |
무매 v1, v2, v2.1 | ||
TLP법 | ||
순환매수법 | ||
영혼법 | ||
쿼터손절법 | ||
아바타법 | 개념 및 원리 | |
7티어법 | ||
중장기 | VR | 개념 및 원리 |
VR 5.0 | ||
어퍼스레버리지 | 개념 및 원리 | |
어퍼스레버리지 | ||
웅덩이매매법 | 개념 및 원리 | |
웅덩이매매법 | ||
5마일 | 개념 및 원리 | |
5마일 |
💸 '돈'이 되는 추천 글
운전자보험료 절감사례 🚘
운전자보험 가격 3900원이면 충분합니다(+ 다이렉트 가입 후기)
보험 최적화 시간은 단 4시간 핵심특약 보장금액은 2배로! 노후자금 1.2억원 추가마련까지 운전자보험 가입현황 오늘 소개해 드릴 지인은 직장 출퇴근 시 자차를 이용하고 있었고 주말에도 운전
truedonshow.com
세금 없이 예적금 이자 받기 💵
세금이 0원? 예적금 이자 절세 방법 총정리(비과세, 분리과세, ISA 등)
최근 가파른 금리상승으로 인해 예/적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1%라도 이율이 높은 특판상품 가입을 위해 아침부터 오픈런을 하는 기사들만 봐도 이를 쉽게 확
truedonshow.com
보험설계사가 고객편이 아닌 이유 🖐
월 10만원 보험, 설계사는 수당으로 얼마를 벌까?
보험설계사의 수당 체계를 이해하시면 설계사가 왜 고객에게 유리한 보험을 설계할 수 없는지 이해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렇기에 이 글을 끝까지 읽는 것만으로도 보험설계사에게 호갱당할
truedonshow.com
'금융상품 정보 📈 > ETF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우존스 인터넷 지수 3배 추종 ETF WEBL 향후 전망 및 구성종목 (0) | 2022.02.07 |
---|---|
제약회사 3배 레버리지 PILL ETF 완벽 분석(수수료, 거래량, 구성종목 등) (0) | 2022.02.06 |
바이오 3배 레버리지 ETF LABU 계속 투자해도 괜찮을까? (0) | 2022.02.06 |
TECL(S&P 기술주 3배 레버리지) ETF 구성종목, 수수료, 성과 (0) | 2022.02.05 |
TQQQ - 나스닥지수(QQQ)의 3배 레버리지 ETF의 A to Z (0) | 2022.02.05 |